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한국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TOP 10 완전정복|시가총액·위험요인·전망 총정리

반응형

스테이블코인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디지털 자산·토큰증권(STO)·CBDC와 함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정부가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확대하면서, 한국 증시에서도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된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 KOSPI/KOSDAQ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받거나 관련된 10대 상장사를 선정해 시가총액, 핵심 연관성, 위험 요인을 정리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한 2025 버전 최신 종합 가이드입니다.


1. 카카오페이 –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의 핵심 후보

카카오페이는 국내 간편결제·전자지갑 시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기업 중 하나입니다.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과 연계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며,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 시가총액: 약 7.5조 원
  • 리스크: 경쟁 심화, 규제 압박, 수익성 변동

2. 카카오 – Web3·블록체인 생태계의 핵심 축

카카오는 클레이튼 개발사로서, NFT·DeFi·Web3 프로젝트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업입니다. 특히 Web3 환경에서 스테이블코인은 필수 거래 수단이기 때문에 카카오 생태계 확장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 시가총액: 약 22조 원
  • 리스크: 클레이튼 활성도 감소, 플랫폼 규제

3. 네이버 – 스테이블코인 기반 디지털 금융 확장 가능성

네이버는 네이버페이·네이버클라우드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금융 플랫폼을 구축해왔습니다. 클라우드 기반 금융 블록체인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어 향후 한국형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에 참여할 가능성이 큽니다.

  • 시가총액: 약 31조 원
  • 리스크: 규제 변수, Web3 실사업화 시점 미정

4. NHN – PAYCO 기반의 디지털 결제 플랫폼

NHN은 PAYCO 결제 서비스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결제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NHN Cloud는 금융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운영해 스테이블코인 기반 API나 금융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 시가총액: 약 1조 원
  • 리스크: 사업 규모 제한, 핀테크 경쟁 심화

5. 위메이드 – 토큰 경제 구조와 가장 밀접

위메이드는 WEMIX 코인을 중심으로 게임 기반 토큰 경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 기반 유동성과 토큰경제 시스템이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실제 블록체인 실험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상장사입니다.

  • 시가총액: 약 1.5조 원
  • 리스크: 규제 리스크, 코인 가격 변동성

스테이블코인

6. 한화시스템 – CBDC·금융 블록체인 핵심 기업

한화시스템은 금융기관용 블록체인 보안 기술과 보관 플랫폼 개발을 통해 CBDC·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CBDC 프로젝트에도 참여 경험이 있습니다.

  • 시가총액: 약 2.3조 원
  • 리스크: 정책 의존도 높음, 블록체인 수익성 불확실

7. 삼성SDS – 블록체인 Nexledger 기반 인프라 기업

삼성SDS는 블록체인 플랫폼 Nexledger를 기반으로 금융기관과 협력하여 결제·인증·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스테이블코인 결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기술과 다분히 상호 연계됩니다.

  • 시가총액: 약 13조 원
  • 리스크: 블록체인 사업 비중 낮음

8. 신한지주 – 디지털 자산 사업 가장 적극적인 금융지주

신한은행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커스터디·스마트컨트랙트 솔루션 개발을 선도하고 있어, 향후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 도입 가능성이 큰 기업 중 하나입니다.

  • 시가총액: 약 25조 원
  • 리스크: 강한 금융 규제

9. KB금융 – STO·스테이블코인 기술 구축

KB금융은 토큰증권(STO) 및 디지털 자산 수탁 인프라 개발에 적극적이며,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기술의 핵심 구축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 시가총액: 약 26조 원
  • 리스크: 규제 변화, CBDC 정책 연동

10. 비덴트 – 업비트 생태계의 간접 수혜주

비덴트는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지분을 보유한 회사로, 스테이블코인 거래량 증가 시 플랫폼 성장과 함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대표적 “간접 연관” 종목입니다.

  • 시가총액: 약 4천억 원
  • 리스크: 두나무 사업 상황에 따라 실적 변동 가능

정리: 한국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는 ‘발행사’가 아닌 ‘인프라 기업’이 핵심

한국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결제·핀테크 기업: 카카오페이, NHN, 네이버
  • 블록체인·Web3 기업: 위메이드, 카카오, 삼성SDS
  • 금융사·커스터디 기업: 신한지주, KB금융
  • 암호화폐 거래 인프라: 비덴트·두나무 관련주

스테이블코인은 향후 CBDC, STO, 글로벌 결제 시스템과 연결되면서 한국 금융시장 전체의 구조를 바꿀 핵심 기술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위 기업들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은 투자자들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 이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모든 투자는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